[5-3] 영화 내러티브와 미쟝센
미장센 mise-en-scean : (연극) 무대 배치 , (영화) 프레임 안에 있는 시청각적 요소(구도, 색채, 소품, 사이즈, 조명 등)
시간과 공간의 구축 : 사건과 행동이 어느 시간, 어느 공간에서 벌어지느냐, 즉 영화의 배경
* 크로노토프 (미하일 바흐친) : 크로노스 (시간 chrnos) + 토포스 (공간 topos)
→ 문학 속에서 예술적으로 표현된 시간과 공간이 본질적으로 지니고 있는 관계의 연관성 즉, 시간과 공간의 관계의 연관성을 정의 하는 것
→ 모든 내러티브는 시간과 공간의 배경을 가진다.
: 영웅본색 오우삼 (1986) - 홍콩 느와르 영화 : 느와르 : 프랑스어로 BLACK , 범죄 영화 장르
: 중경삼림 왕가위 (1994)
→ 홍콩이라는 공간, 홍콩이 중국으로 반환되기 직전의 시간
* 영화의 내러티브에서의 기본적 세가지 차원의 지속시간이 있다.
① 스크린 시간 screen duration : 실제 상영 시간, 러닝타임 (120분 전후)
② 스토리 시간 story duration : 관객들이 영화 속 내부 시간을 시간 순서에 따라 배열 한 것, 내부 사건들의 연대기적 재배열
③ 플롯 시간 plot duration : 영화 속에서 다뤄지는 개별 사건들의 시간 : 인과 관계 속 사건의 배열 시간
: 광해, 왕이 된 남자
① 스크린 시간 screen duration : 131분
② 스토리 시간 story duration : 광해군 재위기간 16년
③ 플롯 시간 plot duration : 왕의 대역이 된 하선의 15일
: 하이눈 프레드 진에만 (1952) 플롯 시간 = 스토리 시간 → 매카시즘 열풍에 침묵하고 있는 사람들을 은유적 비판
① 스크린 시간 screen duration : 87분
② 스토리 시간 story duration : 10시 30분 ~ 정오
③ 플롯 시간 plot duration : 10시 30분 ~ 정오
* 미장센을 활용한 시간의 사례
: 남산의 부장들 우민호 (2020)
→ 플래시백을 통해 영화 속 내러티브의 시간을 조절, 재구성
* 미장센의 공간
① 스크린 공간 screen space : 화면 상으로 보여지는 공간
② 스토리 공간 story space : 화면에 나타나진 않지만 영화적 장치에 의해 관객들이 상상하고 추측 할 수 있는 영화적 공간
③ 플롯 공간 plot space : 실제 영화 속에서 다뤄지는 개별 사건의 공간
* 미장센을 활용한 공간의 사례
: 기생충
- 계단 올라가는 상류층, 반지하 방에 살고 있는 하류층, 그보다 더 아래 최 하류층의 지하방
→ 내러티브적으로 가장 뛰어난 영화가 됐던 것이 바로 이런 공간의 미장센
'우파루파,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시나리오 공부] 시나리오 쓰기. 시나리오 공부하기 ep.21 이야기 만들기 (0) | 2023.01.06 |
---|---|
[시나리오 공부] 시나리오 쓰기. 시나리오 공부하기 ep.20 영화 내러티브와 사운드 (0) | 2022.12.31 |
[시나리오 공부] 시나리오 쓰기. 시나리오 공부하기 ep.18 영화 내러티브의 3요소 (0) | 2022.12.30 |
[시나리오 공부] 시나리오 쓰기. 시나리오 공부하기 ep.17 영화 내러티브 (0) | 2022.12.29 |
[시나리오 공부] 시나리오 쓰기. 시나리오 공부하기 ep.16 등장인물 전기, 대사쓰기 (0) | 2022.12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