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5-1] 영화 내러티브는 무엇인가?
영화 내러티브 = 서사 : 어떤 사건이나 상황을 시간의 연쇄에 따라 그래도 적용
[시나리오 공부] 시나리오 쓰기. 시나리오 공부하기 ep.2 시나리오의 구성
[1-2] 시나리오의 구성 : 이야기 영화는 스토리텔링이다. 스토리 story + 텔링 telling 즉, 이야기를 전달하다. *내러티브 : 서사구조 - 스토리 story + 플롯(인과관계) plot 의 결합이다. - 스토리는 시간의
today8976.tistory.com
* 시나리오는 story telling
- 시나리오의 내러티브 : 사건의 재연이나 사건의 연속. 허구나 실제의 사건들이 서술자에 의해 피서술자에게 전달되는 재진술
스토리 story 와 플롯 plot 의 결합 → 내러티브 = story + plot
: 스토리 story ( 파블라 fabula : 시간의 순서대로 사건이 제시)
- 인물과 배경의 도움으로 시간 순서대로 정돈해 놓은 사건의 서술
- 특정 시공간에서 발생한 인과 관계가 있는 사건들의 연쇄
: 플롯 plot (슈제트 syuzhet : 이야기의 순서를 재구성 )
- 스크린 상의 시청각적 요소들로 이루어진 심리적 인과관계
- 똑같은 이야기를 하더라도 시간 순서대로 전개 되는 것이 아닌 인물의 내면 심리 혹은 원인과 결과에 따른 인과관계를 따라가면서 나타나는 사건들의 배치
* 영화 시나리오 이야기 구조, 내러티브 서사 구조
- 3막 구조 <처음 - 중간 - 끝>
* 영화 시나리오 구성 방식
① 원인 - 결과 식 : 사건 발생을 시작으로 시간의 순서에 따라 구성되는 이야기 구조
② 결과 - 원인 식 : 주로 회상 기법 사용
③ 에피소드 식
* 소설과 영화 내러티브의 근본적 차이
① 이야기의 전달 방식
: 영화는 반드시 카메라(중계자)가 지정해놓은 프레임을 통해서만 영화를 볼 수 있다.
"중계자 - 카메라'의 역할이 있다.
② 이야기의 수용 방식
: 독자의 능동성과 관객의 수용성
: 관객은 능동적인 상태가 아니라 수동적인 무의식 상태 속에서 영화를 즐기게 된다.
③ 대면 심리 묘사
: 소설은 문자라는 '상징적 기호'
: 영화는 영상이라는 '도상적 기호'
④ 현실세계의 표현 방식
: 영화는 소설보다 훨씬 더 현실세계를 직접적으로 묘사하는 사실성(핍진성)의 예술
: 희생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(1986)
영화의 탄생은 현실의 시공간을 직접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한 사건이다.
'우파루파,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시나리오 공부] 시나리오 쓰기. 시나리오 공부하기 ep.19 영화 내러티브와 미쟝센 (0) | 2022.12.30 |
---|---|
[시나리오 공부] 시나리오 쓰기. 시나리오 공부하기 ep.18 영화 내러티브의 3요소 (0) | 2022.12.30 |
[시나리오 공부] 시나리오 쓰기. 시나리오 공부하기 ep.16 등장인물 전기, 대사쓰기 (0) | 2022.12.29 |
[시나리오 공부] 시나리오 쓰기. 시나리오 공부하기 ep.15 등장인물의 네 가지 요소 (0) | 2022.12.28 |
[시나리오 공부] 시나리오 쓰기. 시나리오 공부하기 ep.14 등장인물의 도구 (0) | 2022.12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