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시나리오 공부] 시나리오 쓰기. 시나리오 공부하기 ep.5 시나리오의 구성
[1-5] 시나리오의 구성 : 3막 구조
* 3막 구조
① 액트 1 (시작) → 구성점 1 (위기과 갈등)
② 액트 2 (대립 : 갈등, 절정) → 구성점 2 (해결할 것)
③ 액트 3 (해결)
* 반지의 제왕 : 반지 원정대 - 피터 잭슨 감독(2001)
① 액트 1 : 샤이어에 사는 호빗의 일상을 보여준다 (주요 인물, 상황 등을 설정)
↓
구성점 1 : 샘, 메리, 피핀은 샤이어를 떠나 적의 땅 모르도르에 가서 절대 반지를 파괴하려 한다.
② 액트 2 : 반지원정대를 방해하는 오크 등 숱한 장애물과 난관에 부딪힌다.
↓
구성점 2 : 아라곤의 활약과 우정의 힘으로 이겨낸다.
③ 액트 3 : 해결
* 시나리오의 사건 설정 방식
- 시나리오는 사건의 연속물이다. 사건이 있어야 위기와 갈등이 있고, 이것을 해결해야 결말이 나오기 때문이다.
✔️ 내면적 사건
- 심리적 사건 : 오해 / 분노 / 질투 / 비밀 등
- 사람과 사람간의 관계를 변화시키는 '심리적인 요소'들에 의한 사건
- 수상한 그녀 - 황동혁 (2014)
✔️ 외면적 사건
- 외부적 환경
- 자연재해 / 교통사건 / 사회적 사건 등 물리적인 힘에 의해 인간이 겪는 불행한 사건
- 해운대 - 윤제균 (2003)
- 아마겟돈 - 마이클베이 (1998)
- 그래비티 - 알폰소 구아론 (2014)
✔️ 복선
- 어떤 사건이 돌발하기 이전에 관객에게 어느 정도의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암시와 예고
- 라라랜드 - 데이먼 샤젤 (2016) : '이유없는 반항'을 보다가 키스장면이 나올 때 영사사고로 스크린필름이 녹아내린다 → 서로의 사랑을 확인 했지만 오래 갈 수 없는, 두사람의 이별을 암시하는 복선
* 시나리오의 구조
- 서스펜스 suspense 긴장감, 긴박감 창출 기법
: 영화 속에서 흥미, 긴장감을 유발하는 장치를 '서스펜스' 라고 한다.
: 무작정 놀라게 하는 기법이라기 보다, 호기심 / 두려움 이런 것들을 동반하는 긴장감을 유발시켜 사건을 끝까지 밀고 나가는 하나의 영화적 기법
1) 심각한 갈등
- 사람-사람, 사람-자연 의 갈등을 비롯하여 여러 갈등 상황들이 기대감, 호기심, 두려움, 긴장감을 유발한다.
2) 거대한 상대역의 등장
- 주인공보다 더 거대한 적수와의 대결
- 죠스 - 스티븐 스틸버그 (1975)
- 셜록홈즈 - 가이 리치 (2009, 2011)
3) 점점 증가하는 구조 속에서 발생
- 액션이나 모험영황에서 서사구조의 위기 - 해결 되는 과정 속에서 발생
- 인디아나 존스 - 스티븐 스틸버그 (2008)
4) 대단히 어려운 선택
- 다크나이트 - 크리스토프 놀란 (2008)
5) 등장인물은 모르지만 관객만 아는 이야기가 전달되는 경우
- 사이코 - 알프레드 히치콕 (1960)